기자수첩 주요 기사

국내기업 '시름'속 외자사는 '희희낙락'
제약업계에 다시 돌아와 보니 크게 변화는 없으나 국내 제약회사들이 정부의 리베이트 근절정책에 시름이 가득한 반면 분업속에서 공룡으로 성장한 다국적 제약기업들은 희희낙락,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국내 제약산업의 현주소를 가늠해 주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현상은 한마디로 성장의 견인차라 할수 있는 신약등 제품력의 우열에서 비롯되고 있어 국내 제약산업의 위상 추락을 예고하고 있다. 이는 다국적 제약기업들이 지난 10여년간 의약분업 시대의 호기를 통해 국내 시장의 마켓 쉐어를 확대, 잠식해 왔다는 것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반면 국내 로컬기업들의 경우 나름대로 정부의 지원 아래 국산신약과 퍼스트 제네릭으로 경쟁에 나서 선전해 왔으나 이제는 어느 정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시행된 정부의 리베이트 근절 정책은 제품력이 약해 판촉 경쟁력에서 열세를 드러낼 수밖에 없는 국내 제약회사들의 경우 영업활동이 위축 되면서 한숨을 내쉬고 있을 뿐이다. 국내 제약기업들의 이러한 위축은 어떻게 보면 지나간 10년의 세월을 안이하게 대처해온 결과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싶다. 국내 제약회사들이 어려운 현실 속에서 신약개발에 나섰다고는 하나 이는 전시용이나 주가 안정용으로 형식적 이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일부 제약사들의 경우 신약개발에 막대한 자금력을 투입했다고 하나 공룡과 같은 세계적인 다국적 제약기업들의 막대한 신약개발비와는 비교 조차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암담한 현실을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다국적 제약기업들의 행보는 고임금을 바탕으로 우수한 인력을 스카웃 하여 조직력을 강화 하면서 선진 기법의 마케팅을 적극 도입, 발빠른 시장경영에 나서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 ‘외자기업 전성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그대로 노정시키고 있다. 현재의 시점에서 국내 제약기업들이 살아 남으려면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경영정책에서 탈피, 시야를 넓게 보면서 제품력 강화를 위한 장기적인 투자를 서둘러야 한다. 당장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블록버스터 공세에 맞설수 있는 R&D 투자에 집중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국내 제약기업들의 경우 창업 1세대들의 거의 퇴장하고 2~3세대로 넘어간 제약회사들이 사실상 ‘창업자의 정신’이 퇴색한채 어정쩡한 방어에 나서고 있을뿐 이어서 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국내 제약기업의 미래는 불투명 해지고 있을 뿐이다.

기자수첩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