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차고 건조한 겨울철 악화되는 피부질환 ‘건선’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차고 건조한 겨울철 악화되는 피부질환 ‘건선’

붉은 발진 위에 하얀 각질이 특징…방치하면 합병증 초래
기사입력 2016.11.23 17:46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아이팜뉴스] 30대 직장인 A씨는 언젠가부터 붉은 반점에 하얀 각질이 팔다리에 생겨 누군가를 만나는 일이 조심스러워졌다. 목욕을 자주 하는데도 몸에 때를 안 민 것처럼 하얀 각질이 몸을 뒤덮고 있어 간지러워 손으로 문지를 때나 옷을 벗을 때 비듬처럼 후두둑 떨어져 내려 당황한 기억이 한 두 번이 아니다.


여름철에는 덜하다가도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가을 초입부터 추운 겨울이면 증상이 심해지는데 대부분의 겨울의복이 검정계열이다 보니 하얀 각질이 더 도드라져 창피를 당할까 의기소침해지기까지 한다.


A씨가 앓고 있는 질환은 피부과에서 ‘구진 인설성 질환’으로 분류하는 ‘건선(乾癬, psoriasis)’이다. 은백색의 피부 각질(인설)로 덮인 붉은 반점(홍반)이 나타나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5년 건선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16만6000여명에 달한다. A씨처럼 질환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사람들까지 고려하면 실제 국내 건선 환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20대에 최초 발생률이 높고, 10대, 30대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사회활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기에 전문의를 찾아 체계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하다.


건선은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보통 증상이 완화되면 다 나았다고 생각하고 방치해 병을 키우기 쉽다. 흔히 건선을 피부가 건조해서 생기는 단순 피부질환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많은데, 건선은 환경적 자극과 유전적 요인이 연관된 면역학적 만성 전신 질환이다.


피부면역세포(T세포)의 이상 활동에 의해 염증유발물질이 피부의 각질 세포를 자극, 과도한 세포증식과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주로 팔꿈치·무릎·엉덩이·머리 부분에 발생하며 손바닥·성기·정강이·손발톱 등에도 생길 수 있다.


초기 건선은 발진 위에 피부 각질이 새하얗게 덮이고, 더 진행되면 발진이 생긴 피부가 두꺼워지고 발진들이 합쳐지면서 병변이 커진다. 여기서 더 악화되면 피부 병변뿐만 아니라 손가락과 발가락이 뻣뻣해지고 붓는 증상이 나타나는 건선성 관절염이나 척추염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증상이 심한 중등도 이상의 건선이거나 건선을 오래 앓을수록 관절염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관절염 외에도 심장·혈관질환이나 비만,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도 높고, 우울증을 야기해 사회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이다.


가벼운 건선은 피부에 연고를 바르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되며, 증상이 심한 경우 경구 치료제를 쓰거나 광선치료를 받게 된다. 이러한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생물학적제제(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항체 단백질로 만든 약)를 쓰게 되는데, 중등도 이상 건선 환자들에게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치료법은 건선 정도와 활성도, 병변 형태, 발생 부위, 환자 나이 등을 고려해 정한다. 또한 생활습관 개선도 매우 중요한데 음주와 흡연을 피하고,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유지해야 한다.


때를 심하게 밀면 피부가 자극을 받아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가볍게 씻어내는 것이 좋으며, 정신적 스트레스도 건선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평온한 마음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피부과 박철종(사진) 교수는 “건선은 악화와 완화를 반복해 호전돼 보이다가도 중증 건선으로 진행할 경우 우울증은 물론 건선성 관절염, 협심증 등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건선에 대해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