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만성통증 치료 해법 찾았다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만성통증 치료 해법 찾았다

연세의대 이배환·차명훈 교수팀, 신경세포 연결망 자극 효과 증명…통증 조절 가능성 제시
기사입력 2017.09.27 08:20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이배환 차명훈.jpg▲ 연세의대 이배환·차명훈 교수
[아이팜뉴스] 우리가 느끼는 통증들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원인에서 비롯되며 증상도 다양하다. 이러한 통증은 우리의 몸 어딘가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알려주는 긍정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만성통증으로 구분되는 신경병증성 통증은 원인이 불분명하고, 지속적이고 과도한 고통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신경병증성 통증을 겪는 환자들은 이러한 통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울증과 대인기피 등 다양한 어려움을 동시에 겪게 되어 삶의 질이 매우 낮아진다.

현재까지 이러한 신경병증성 통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나 아직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뇌 구조의 신경학적 변화가 만성통증의 원인이 되며, 전기 자극 등 인위적 자극을 이용한 신경가소성 변화로 통증 조절이 가능해짐이 국내 연구진의 연구 결과로 밝혀졌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이배환·차명훈 교수팀은 말초신경 손상을 입은 실험쥐를 대상으로 만성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피질 자극술(MCS; motor cortex stimulation)을 반복 시행해 나타나는 행동 변화를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운동피질 자극술은 통증을 감소시키고 전방 대상 피질(ACC; anterior cingulate cortex)의 신경세포 시냅스 연결망에 변화를 일으켜 통증감소와 조절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밝혔다.

도표(국문).jpg▲ (그림 1) 운동피질 자극 후 그룹별 물리적 반응에 의한 역치 변화정도 측정 그래프
 
연구팀은 실험쥐를 인위적 말초신경 손상을 준 실험군과 허위 손상을 준 대조군으로 분류해 물리적 자극에 반응하는 통증의 역치를 측정했다.

먼저 그림 1-A와 같이 인위적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도시킨 실험군 쥐들은 신경손상이 일어난 이후 자극에 대한 반응역치가 점차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특히 신경 손상을 입은 다음 날부터 역치가 현저하게 감소돼 통증이 증가했으며, 허위 손상을 입은 대조군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후 연구팀은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해 반복적인 운동피질 자극술(MCS)를 시행해 통증변화를 관찰했다. 운동피질 자극술을 각 그룹별로 매일 10일 동안 반복했으며, 역치반응은 매일의 운동피질 자극술 전후에 측정했다.

그림 1-B와 1-C는 각각 매일의 운동피질 자극 전후의 역치반응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 결과 그림 1-B에서는 매일 운동피질 자극술 시행 전 반응 역치를 관찰했을 때 신경손상 후 자극술 시행한 그룹에서 당일 운동피질 자극술을 시행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효과가 누적돼 반응역치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다.

그림 1-C에서 같이 신경손상을 입은 실험군 쥐들은 운동피질 자극술 시행 초기에는  통각과민반응의 감소가 유지가 되지 않는 특징을 보였으나 자극술이 반복될수록 역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으로써 통증이 현저하게 완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신경손상을 입었지만 허위 운동피질 자극술을 시행한 실험군 내 쥐들과의 비교도 시행했는데, 앞선 결과와는 달리 운동피질 허위자극을 받은 신경손상 쥐들은 역치가 변하지 않았다. 즉, 신경손상을 입고 운동피질 자극술을 받은 쥐들은 허위 자극술을 받은 쥐들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통각에 대한 과민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를 주도한 이배환 교수는 “본 실험을 통해 운동피질 자극술은 신경병증성 통증을 감소시켰을 뿐 아니라 전방 대상 피질에 위치한 신경세포의 시냅스 연결망 가소성에 변화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운동피질 자극술을 통한 전기적 자극이 시냅스 연결을 변화시킴으로써 통증 조절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만성적으로 이어지는 통증이 뇌세포 연결성에 변화를 가져오는데, 반복적으로 운동피질 자극술을 시행하면 통증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신경세포에 시냅스 강화가 일어나 만성통증을 약화시킨다는 점과 전방 대상 피질 신경세포의 특이적인 시냅스 연결망 변화가 신경병증성 만성통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차명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의 뇌신경세포 시냅스 연결망 조절을 통해 만성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추후 연구를 통해 뇌세포에서 시냅스 연결망의 변화가 갖는 의미를 보다 명확히 밝힌다면 통증이 기억돼 전달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찾아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반복적인 운동피질 자극을 통한 통증조절 회로 강화(Repetitive motor cortex stimulation reinforces the pain modulation circuits of peripheral neuropathic pain)’라는 제목으로 네이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