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이대목동 사태, 예고된 참사…국가가 근본적 대책 마련해야”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이대목동 사태, 예고된 참사…국가가 근본적 대책 마련해야”

의협, 신생아 사망 관련 입장 발표…“제2, 제3의 이대목동병원 사태 일어나지 말란 보장 없다” 강조
기사입력 2018.01.12 17:19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아이팜뉴스] 12일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가 국과수 부검 결과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의 원인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이라고 발표한 것과 관련, 대한의사협회는 “(이번 사태는) 예고된 참사였다”며 “국가가 근본적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이날 입장을 통해 먼저 소중한 어린 생명들의 명복을 빌며, 큰 슬픔을 겪은 유가족에게도 진심어린 위로를 전했다.

이어 “의료기관 내 환자를 진료하는 어느 곳을 막론하고 감염 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신생아중환자실(NICU)의 경우 훨씬 더 철저하게 감염요인을 차단해야 한다”며 “결과적으로 NICU 감염 관리를 부실하게 한 해당 병원 측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환골탈태한다는 각오로 임해야 할 것이며, 의사협회에서도 의료인 과실에 대한 부분이 있다면 내부 자정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의협은 “특정 병원과 특정 의료진의 잘못으로만 이 사건의 원인을 단정 짓는 것은 무리다”면서 “해당 병원 NICU는 5명이 할 일을 2명이 감당하고 있었고, 당직근무 체계조차 무너진 상태였다. 의료진간 긴밀한 협업을 요하며, 24시간 예측불허의 상황이 발생하는 NICU의 특성상 열악한 근무여건이 지속됐다는 것은 이 사건이 예고된 참사였음을 방증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의협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의료기관과 의료인이 감염관리에 만전을 기하기에 부족함 없도록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특단의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의협은 “정부는 일선 의료현장의 감염관리 인력과 장비 및 재료, 시스템 등의 실태를 면밀히 파악해 현실에 맞게 질 관리 수준을 대폭 향상시켜야 한다”며 “감염관리를 위해 투자하면 병원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 되지 않도록 국가가 근본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하며, 그에 따른 충분한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선진국에서는 NICU에 충분한 의료 인력이 상주한다. 감염관리 전담팀과 환경보호사가 신생아중환자실 소독과 청소를 전담한다”면서 “우리나라는 전혀 그렇지 못하다. 고령산모 증가로 미숙아도 늘어나는데, 감염관리에 대한 지원과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병원 감염관리실태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형성했고, 의협 또한 올바른 병문안 캠페인 활동을 비롯해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이번 사건을 통해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절감한다”고 덧붙였다.

의협은 “앞으로 우리 협회는 의료인의 감염 관리에 대한 보수교육을 보다 강화하고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배전의 노력을 더할 것”이라며 “감염병 예방 조치계획 및 의료기관 관리 강화 계획을 수립해 의료인의 윤리의식 고취 및 문제 발생에 따른 선제적 대응을 실행할 것이다”고 밝혔다.

의협은 특히 “이번 사건에 대한 해당 의료기관의 관리실태 및 책임 문제와는 별개로 진짜 원인은 의료시스템에 있다는 엄중한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면서 “중환자실과 중증외상센터에서 환자의 생명을 살릴수록 병원의 적자가 더 늘어나는 구조 속에서는 제2, 제3의 이대목동병원 사태가 일어나지 말란 보장이 없다. 적절한 수가를 보상해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시설과 장비를 갖출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혁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