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전공의 입국비, 수백만에서 수천만원 요구 ‘충격’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전공의 입국비, 수백만에서 수천만원 요구 ‘충격’

대전협, 입국비 실태조사 결과 공개…“입국비 안 내면 왕따, 레지던트 선발 불이익”
기사입력 2019.03.03 21:29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아이팜뉴스] 수련병원에서 전공의를 대상으로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수천만원 이상 입국비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한다는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달 28일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이승우)는 전공의 회원을 대상으로 시행한 입국비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설문은 지난해 12월 약 2주간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전국 70여개 수련병원의 500여 명의 전공의가 응답했다.

설문 결과 여전히 다수의 의국에서 관행적으로 입국비를 걷고 있었다.

응답자 96.1%가 입국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77.1%가 ‘현재 근무하는 병원의 다른 과’에 입국비 문화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봤다고 답했다. 그 액수로는 100만~1000만원이 66.1%, 1000만~5000만원이 19.2%, 50만~100만원이 7.1% 순으로 많았고, 5000만원 이상도 3.3%에 달했다. 1억원 이상이라고 답한 전공의도 10명이나 있었다.

이와 함께 ‘현재 근무하는 전공과’에 입국비 문화가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한 비율은 37.1%였다. 내야 하는 입국비는 100만~1000만원이 47.1%, 50만~100만원이 16.7%로 가장 높았다. 5000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000만원씩 현금 2회와 1년치 밥값을 지불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입국비 지급 방식으로는 계좌이체가 70.8%로 가장 많았으며, 현금 13.7%, 본인 명의의 카드 7.8%가 뒤를 이었다. 기부금 명목으로 카메라, 컴퓨터 등 의국 물품을 구매하도록 종용한다는 의견도 다수 있었다.

이처럼 의국에 들어가기 위해 적게는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5000만원 이상 입국비를 내야 하지만, 그 사용내역은 여전히 불투명했다. 응답자 중 입국비 사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는 답변 비율은 23.3%에 그쳐 전공의 4명 중 3명이 자신이 낸 입국비의 사용처를 알 수 없었다.

그럼에도 전공의들은 왕따나 교수의 강요, 입국 불가 등의 불이익 때문에 입국비를 내지 않을 수 없다.

A전공의는 “입국비를 내지 않으면 분과 결정 시 원하는 곳이 아닌 분과를 선택하게끔 종용한다”고 했다.

B전공의는 “입국비를 내는 것 자체가 불이익”이라며 “안 낼 수 없으니 ‘내지 않아서’ 불이익을 받을 일이 없다”고 토로했다.

입국비에 대한 전공의들의 불만과 의문을 보여주듯 입국비 문화가 없어져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81.3%에 달했다.

C전공의는 “입국비가 수련 과정에 필요한 교과서 및 개인물품 구매에만 사용되면 괜찮지만, 그 외의 목적으로 쓰이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사용내역의 투명한 공개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공의 72.3%가 의국 운영을 위해 필요한 비용을 병원에서 지원한다고 응답했지만, 병원 복지 차원에서 전공의에게 직접적으로 지원해주는 비용이나 혜택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2.4%에 불과했다.

D전공의는 “병원에서 지원하는 의국비는 과장만 안다”면서 “의국비는 본인이 쓰고, 정작 의국에 들어가는 비용은 전공의로부터 걷은 입국비를 사용한다”고 폭로했다.

3월을 앞두고 대전협으로 들어오는 입국비 제보 역시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승우 회장은 “새로 입국하는 레지던트 1년차로부터 적지 않은 금액을 강요받았다는 제보가 계속 들어오고 있다. 이와 다르지 않게 전문의를 취득하고 나가는 레지던트에게도 퇴국비를 걷는다는 제보도 많다”면서 “사용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면서 돈을 걷어가는 부조리한 문화가 아직도 남아있다는 것은 의료계에 정말 부끄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특히 “일부 의국에서는 교수님이 먼저 이런 관행을 없애고자 노력해서 사라지는 사례도 있고, 병원 차원에서 의국 운영비를 지원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며 “이제는 학회, 수련병원이 보고만 있지 말고 앞장서서 자정의 목소리를 내야 할 것이며, 전공의 또한 당연하다는 듯이 잘못된 문화를 물려주지도 받지도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