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오미크론 대확산, 민·관·공 의료협력 체계로 극복해야”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오미크론 대확산, 민·관·공 의료협력 체계로 극복해야”

중랑구 보건의료 전문가들, 오미크론 대응 토론회 개최…지역 내 완결형 대응체계 제시
기사입력 2022.01.27 23:00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코로나19, 민‧관‧공 보건의료협력으로 극복해야 자료사진2.jpg
오미크론 대응 방역체계 전환과 민·관·공 보건의료 협력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진행 장면

 

[아이팜뉴스] 서울의료원(의료원장 송관영)은 중랑구 지역 개원의와 병원 관계자, 보건소와 지역주민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오미크론 대응 방역체계 전환과 민·관·공 보건의료 협력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지난 20일과 24일 두 차례에 걸쳐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참여 기관들이 그동안의 코로나19 현장 실무 내용을 공유하고,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의료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사회 대책을 논의하는 취지로 마련됐다.

 

이번 토론회를 주재한 김석연 서울의료원 의무부원장은 “지난 2년간 코로나19 전담병원을 운영하다 보니 번아웃된 의료진이 이탈하는 등 힘든 점이 많았다. 코로나19의 장기화 속에서 계속되는 대유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 민간병원이 재택치료와 같은 1차 대응을 수행하고, 서울의료원은 이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며 2차 대응을 담당하는 형태가 돼야 한다”면서 “취약계층 진료와 공공의료를 위해서라도 공공병원 병상을 50% 이상 소개하는 것은 근시안적인 무리수”라고 밝혔다.

 

오동호 중랑구의사회장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기존의 의료전달체계가 붕괴된 상황”이라며 “이제는 지역사회의료기관이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오 회장은 “중랑 지역의 동네의원은 200여 곳으로 이들이 감염병 상황에서 1차 의료를 담당하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서 “코로나19 확진환자를 진료하겠다는 지역 의사가 1년 전에는 10%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50%로 크게 늘었다”는 설문조사 내용도 공개했다.


임상혁 녹색병원장은 “앞으로는 중랑구와 같은 지역 내 완결형 코로나19 대응체계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코로나19 대응 단계별로 지역 의원과 병원, 종합병원의 역할을 나눠야 한다”고 말했다. 임 병원장은 특히 “지역 의원이 재택치료와 비대면, 외래진료에 더 힘을 쓰고 종합병원에서 중환자 진료를 담당해 지역 내에서 코로나19 환자 진료를 완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해 김무영 중랑구보건소장은 “국내 방역 기본원칙이 확진자 수를 줄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오미크론 상황에서는 (기존 방역 정책이) 잘 안될 수도 있다”면서 “확진자가 3만명 이상 발생한다면 이는 독감 발생률과 비슷한 수치로 전 의료기관이 나서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경우 우선 해결돼야 할 부분으로 응급의료, 즉 응급환자를 받아주는 병원이 부족한 것을 꼽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김 소장은 “서울의료원 같은 권역응급센터는 코로나, 비코로나 환자를 동시에 진료해야 한다”고 전했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도 “현재 구로구 등에서 의원급 재택치료 모델을 시범 실시하고 있다며” “오미크론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지역 의원과 병원이 함께하는 재택치료 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지역 의사회가 주도해 병·의원 간 연락망을 구축하고,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일부 병상을 배정할 권한을 가지는 이른바 ‘중랑구 완결형 코로나19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면 환자들이 관외로 이동하지 않고 지역 병·의원에서 중증도 분류와 입원 결정도 하게 돼 합리적이며, 이에 따라 의료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게 돼 폭증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업무도 감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