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사노피 파스퇴르, ‘지카 바이러스’백신 개발 결정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사노피 파스퇴르, ‘지카 바이러스’백신 개발 결정

모기매개 바이러스 백신 성공 개발이력 살려 프로젝트 착수
기사입력 2016.02.09 10:12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아이팜뉴스] 사노피 파스퇴르는 지카바이러스 감염 및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사노피 파스퇴르는황열 백신과 일본뇌염 백신뿐 아니라, 가장 최근에는 뎅기열 백신도 허가 받아지카바이러스(ZIKV)와 동종군에 있는 바이러스 백신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사노피 파스퇴르는 최근 허가된 뎅기열 백신 뎅그박시아®(Dengvaxia®)에 대한 사노피 파스퇴르의 전문 지식과 안정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연구개발 및 산업 인프라를신속하게 투입하여 지카바이러스 확산 사태를 이해하고 임상 개발할 후보 백신을 확인하는 작업을 가속화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노피 파스퇴르의 연구개발 분야 글로벌 수장인 존 샤이버(John Shiver) 박사는 " 이번 프로젝트에 사노피 파스퇴르 내부의 최고 전문가들을 동원하고 지카바이러스 발생 지역에 있는 세계 곳곳의 과학자들 및 공중보건 전문가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지카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연구개발 노력에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말했다.


지카바이러스는 뎅기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에 속하는 지카바이러스는 뎅기열과 동일한 모기종에 의해 확산되며 뎅기열과 유사한 급성 임상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으로 초래되는 흔한 증상으로는 열, 발진, 관절 종창, 결막염, 두통이 있다. 그러나 임산부가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아기가 소두증이라는 심각한 선천성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희귀병인 소두증은 일반적으로 뇌의 발달을 손상시켜 비정상적으로 작은 머리를 유발한다.


지카바이러스 백신 프로젝트를 이끌게 될 사노피 파스퇴르의 연구부문의 글로벌 수장인 니콜라스잭슨(Nicholas Jackson) 박사는 "지카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지카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의학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노피 파스퇴르는 지카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촉구하는 전세계적 요청에 응하고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지카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심각한 선천성 합병증에 노출될 가능성뿐 아니라 새롭게 보고된 위험한 신경 질환과 지카바이러스와의 관계도 평가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최근까지도 지카바이러스는 보건학적 중요도가 떨어지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바이러스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20155월에 범미보건기구(PAHO)가 브라질의 첫 번째 지카바이러스 감염 확진과 관련된 경보를 발령했고 그 이후 지카바이러스는 미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미 당국은 지카바이러스가 푸에르토리코에서 지역적 전파 사례가 있었고 여행 후 미국 본토로 돌아오는 국민들 중에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가 있었다고 보고했다.


세계보건기구(WHO) 138차 집행이사회 중에 개최된 보고회에서 마가렛 찬(Margaret Chan)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은 세계보건기구가 다음의 4가지 이유로 인해 지카바이러스에 대해 매우 염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질병예방센터(CDC)는 임산부들에게 지카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는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국가로의 여행을 미룰 것을 당부하는 여행 권고사항을 발표했다.


현재는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나 특정 치료법이 없다. 지카바이러스를 확산시키는 모기를 잠재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매개체 통제가 중요한 수단으로 남아 있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