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제목 대전협, 전 회원 이메일 및 전국 수련병원 공문 발송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대전협, 전 회원 이메일 및 전국 수련병원 공문 발송

“폭언·폭력 예방과 근절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 밝혀
기사입력 2017.07.19 14:04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아이팜뉴스] 연이은 전공의 폭언·폭행 논란이 일자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기동훈)가 회원 보호를 위한 안전망을 적극적으로 가동하기 시작했다.

대전협은 지난 14일 전국 수련병원 교육수련부에 공문을 발송해 병원 내 ‘구조적 무게’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전체 전공의 회원에게 이메일을 발송해 그동안 자신에게도 피해가 오지 않을까 두려워 드러낼 수 없었던 ‘암묵적 회피와 순응’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그리고 향후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폭언 및 폭력이 일어날 시 피해자와 목격자가 참고할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대전협에서 어떻게 사건을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전달했다.

대전협은 “최근 대학병원 내에서 전공의 간 폭언 및 폭행 등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면서 “폭언 및 폭행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용납될 수 없는 범죄행위이며, 폭력으로 인해 전공의가 수련을 중도 포기하게 된다면 이는 국가적 재원 낭비이자 환자의 안전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설명했다.

대전협이 제시한 프로토콜에 따르면 폭언 및 폭행을 당한 전공의는 먼저 병원 내 폭력재발방지위원회 혹은 교육수련부에 해당 사항을 알리고, 만약 병원에서 개선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외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외부 요청 시에는 내용을 문서화시켜 수련환경평가위원회(02-705-9272)나 보건복지부 국민신문고에 접수하면 된다. 가능하다면 의료 전문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사실을 알리고 가시화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만약 형사소송을 준비한다면 육하원칙에 따른 고소장과 목격자의 진술서, 그리고 녹취자료나 병원 CCTV 등의 객관적인 자료가 큰 도움이 된다.

대전협 이승우 복지이사는 “1년 동안 대전협에 접수된 민원의 20%가 이러한 폭언 및 폭력에 관한 민원이다. 이 수치만으로도 크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참고 참다가 겨우 용기를 내서 연락한 전공의들의 수에 불과하다. 또한 이 중에는 견딜 수 없어 사직한 전공의도 있다. 정말 많은 전공의들이 폭언과 폭력에 노출돼 있는 현실이다”라고 토로했다.

이어 “민원이 들어와도 병원 내에서 쉬쉬하고 동료를 감싸기 위해 숨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대로 된 처벌이나 개선이 이뤄지기 힘든 구조다. 하지만 폭력은 명백한 범죄다. 우리 전공의들 스스로는 물론 병원과 교수들도 함께 병원 내 문화를 바꾸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바꾸지 않는다면 우리 모두가 ‘암묵적 동조자’ 혹은 ‘잠재적 피해자’가 된다. 우리가 서로를 존중하지 못하면 환자도 국민도 우리를 존중해 주지 않는다. 서로를 존중하는 병원문화를 만들기 위해 대전협이 앞장설 것이다”라고 의지를 밝혔다.
<저작권자ⓒ아이팜뉴스 & ipharm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368, 401호(번동, 풍년빌딩) 아이팜뉴스 | Tel 02-2277-1771, 02-955-2016 | Fax 02-2277-67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아 01474 | 등록일자 : 2011년 1월 12일 | 발행일자 : 2011년 4월 7일
  • 발행인 : 강희종 | 편집인 : 이영복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희종 | 이메일 : news@ipharmnews.com
  • Copyright © 2011-2017 ipharmnews.com all right reserved.
아이팜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